광고
광고

[신간] 김창훈 교수(총신대 신대원) '하나님 중심적 설교' 교재 증보판 발간

성부, 성자, 성령 삼위 하나님께서 본문을 주해하여 적용으로 연결하고 효과적이고 능력 있게 전달하는 모든 과정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해야 하는 것이다.

소재열 | 기사입력 2023/10/23 [19:01]

[신간] 김창훈 교수(총신대 신대원) '하나님 중심적 설교' 교재 증보판 발간

성부, 성자, 성령 삼위 하나님께서 본문을 주해하여 적용으로 연결하고 효과적이고 능력 있게 전달하는 모든 과정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해야 하는 것이다.

소재열 | 입력 : 2023/10/23 [19:01]

  

▲ 김창훈 지음, 신국판 양장 호밀리아 刊, 1032쪽, 50,000원 [총판 하늘유통]  © 리폼드뉴스

 

(리폼드뉴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설교학을 가르친 김창훈 교수의 한국 교회 강단의 갱신과 부흥을 위한’ <하나님 중심적 설교>(God-Centered Preaching)라는 저서(신국판 양장, 1032) 증보판(호밀리아 )이 출간됐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설교학교수인 저자는 기존의 설교학 교재를 증보하여 총 21장으로 완성하여 20232학기부터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오늘날 한국 교회의 강단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있다라고 언급하면서 하나님의 말씀이 강단에서 사라지고, 그 의미가 왜곡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설교자가 성도의 필요와 흥미에만 급급해서 그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메시지를 담대하게 선포하지도 못하고 있다.”라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 ‘(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이다. 성부, 성자, 성령 삼위 하나님께서 본문을 주해하여 적용으로 연결하고 효과적이고 능력 있게 전달하는 모든 과정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해야 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를 주창하고 나섰다.

 

김 교수는 하나님 중심적 설교가 회복될 때 한국 교회는 제 2의 부흥과 도약을 경험할 수 있으리라 굳게 믿는다.”라고 확신했다.

 

저자에 의하면 설교는 올바른 성경관성경 해석 원리가 전제되어야 하며,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의 기본 방향은 하나님 중심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하나님 중심적 해석과 설교바르고 건전한 해석학적 과정을 통하여 성경에서 하나님의 의도 또는 뜻을 발견하여 그것을 오늘의 상황에 적용하여 설교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특히 구속사적으로 접근함에 있어서 단지 예수님만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성부, 성자, 성령 삼위 하나님이 함께 강조되어야 함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하나님 중심적 접근이라고 강조하는 것은 본문에 의도된 하나님의 뜻과 목적을 발견하는 것을 최우선시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어서 “(삼위) 하나님 중심적인 (구속사적) 접근은 단순한(또는 극단적인) 구속사적 접근보다도 좀 더 포괄적이고 균형 있는 설교를 하게 한다.”라고 하면서 극단적인 구속사적 설교의 한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님 중심적 접근은 본문에서 단순히 그리스도만을 발견하고 구속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물론 그것이 성경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관점이요 선포해야 할 최고의 주제임을 인정하지만), 본문에서 포괄적으로 하나님의 뜻과 의도를 발견하고자 하기 때문에 신앙과 삶을 위한 교훈을 찾는데도 훨씬 적극적이라고 봤다.

 

김창훈 교수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정성구 교수의 그리스도 중심의 구속사 설교에 대해 “(삼위) 하나님 중심의 (구속사적) 설교로 발전시켜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설교학의 지평을 열고 있다.

 

구원의 메시지 선포에 대해서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메시지를 선포함에 있어서 성부, 성자, 성령 삼위 하나님이 함께 강조되는 것은 교리와 구원의 진리를 가장 분명하게 말씀하는 로마서나 에베소서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라고 언급한다.

 

구속사적 접근의 설교에 대한 주의점에 대해서도 “(삼위) 하나님 중심적 (구속사적) 접근은 단순한 구속사적 접근이 자칫 범할 수 있는 그리스도 일원론 또는 양태론의 오류를 피하게 한다. 구속사 학파들이 구속사적 설교를 그리스도 중심적 설교라고 명명하는 것처럼 구속사적 접근은 자칫 그리스도 일원론 또는 양태론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물론 구속사학파도 이 점에 대해서 주의를 요하도록 강조하기도 한다).(Greidanus, Preaching Christ from the Old Testament,270-1.)”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고의적으로 의도하지는 않을지라도 그리스도를 중점적으로 강조하다보면 성부 하나님이 무시되거나 소홀하게 언급될 수 있고, 또한 그리스도를 믿는 것이 하나님 믿는 것을 대체하는 것처럼, 또는 그리스도를 믿는 것이 하나님을 믿는 것에 추가된 것과 같은 인상을 줄 수도 있다.”라는 주의사항도 언급한다.

 

김창훈 교수는 본서에서 “‘본문을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와 연결하여 해석하느냐?’ 또는 설교에서 얼마나 많이 예수님을 언급하느냐?’에 따라 그 설교가 복음적이고 성경적 설교가 되는가가 결정되지 않는다.”라고 주장한다. 또한 본문을 바른 해석학적 원리에 의해서 정당하게 해석하고 적용할 때 예수님이나 구원이란 단어를 많이 언급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복음적이고 성경적인 바른 설교가 될 수 있다.”라고 말하면서 하나님 중심적 설교를 집대성하고 있다. 

 

▲ 김창훈 지음, 신국판 양장 호밀리아 刊, 1032쪽, 50,000원     ©리폼드뉴스

 

본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부 설교의 이해

 

1장 한국 교회의 상황: 한국 교회의 문제와 목회적 제안

3장 설교는 무엇인가? 설교학의 다양한 접근들에 대한 고찰

4장 강단 회복을 위한 제안:(삼위) 하나님 중심적 설교의 회복

 

2 부 설교의 형식

 

5장 주제 설교(Topical Preaching)

6장 내러티브 설교(Narrative Preaching)

7장 강해 설교

 

3 부 설교의 준비

 

8장 본문의 접근

9장 청중 분석(Audience Analysis)

10장 적용

11장 설교 작성

 

4 부 설교의 전달

 

12장 효과적이고 설득력 있는 전달

13장 설교에 있어서 이매지네이션의 활용

 

5 부 설교의 본질

 

14장 포스트모더니즘과 설교

15뉴노멀(New Normal)’시대의 도래와 설교

16구속사적 설교의 평가

17장 예언자적 설교(Prophetic Preaching)

18장 설교와 성령 사역

 

6 부 하나님 중심적 설교 모델

 

19장 칼빈의 하나님 중심적 설교

20장 옥한흠 목사의 하나님 중심적 설교

21장 정근두 목사의 하나님 중심적 설교: 야고보서 설교를 중심으로 

 

부록 : 설교 평가서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