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에드먼드 클라우니(Edmund Prosper Clowney, 1917-2005)는 1939년 휘튼 대학에서 학사, 1942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석사, 1942년 예일 대학교에서 Th.M. 그리고 1966년 휘튼 대학교에서 신학박사(Doctor of Divinity)를 받았다. 정통장로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1942년부터 1946년까지 코네팃커트와 뉴저지의 교회 목회를 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1952년부터 실천 신학 교수로 사역했고, 1966년에 총장이 되었고, 1990년에는 캘리포니아의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교수로 사역했다.
에드먼드 클라우니 박사는 그의 저서인 「구약에 나타난 그리스도」 The Unfolding Mystery: Discovering Christ in the Old Testament 라는 책에서 “새 사람”이라는 주제로 새 사람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저자는 구약을 그리스도에 대한 관점으로 해석하고 이해하였다. 이에 그의 글을 소개해 본다.
먼저 기록된 성경 말씀은 하나님 자신의 손으로부터 나왔다. 하나님께서 두 돌판 위에 친히 그의 율법을 새기셨다(출 31:18). 그 말씀은 이렇게 시작한다.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출 20:2)
하나님께서는 시내산에서 자신을 이스라엘의 하나님으로 밝히셨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는 하나의 부족신이 아니었다. 그분은 열방의 왕이시며 온 우주 만물을 창조하신 창조주이시다. 이스라엘에게 주신 하나님의 계시 속에는 이스라엘 민족의 삶과 예배의 규범이 되는 율법만 아니라 훨씬 그 이상의 것이 들어있었다.
여호와를 그들의 하나님으로 알기 위해서 이스라엘은 그분을 창조주로서 알아야만 했다. 이스라엘이 자기의 부르심을 알기 위해서는 그들의 조상 아브라함과 그의 부르심에 대한 이야기를 알아야만 했다. 하나님께서 열방을 통치하신다는 것을 아는 것은 그들에게는 필수적인 것이었다. 열방들이 아브라함의 자손으로부터 시작된 새 민족을 통해 복을 받게 될 것이라고 하나님은 약속하셨다.
모세의 첫 번째 책 창세기는 이스라엘의 부르심과 그들의 출애굽 이야기를 하기 위해 태초의 창조 이야기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창세기는 “계보의 책”으로서 이스라엘의 조상들의 이야기를 추적할 뿐만 아니라 창조 시부터 하나님께서 모든 인류를 어떻게 다루시는가에 대한 맥락 속에서 이스라엘의 부르심을 이야기하고 있다. 온 땅이 하나님의 것이나 이스라엘은 하나님은 특별히 하나님께서 택하신 백성이며 그분의 귀중한 소유였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부르심은 그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그들이 열방 중에서 하나님의 택함을 받은 것은 열방에게 하나님을 증거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이스라엘은 아브라함을 부르시고 노아를 아끼시고 아담을 동산에 두신 그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고백해야만 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됨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창 1:27). 창세기 1장은 우리를 창조의 절정으로 인도한다. 즉 하나님께서 자기 형상대로 남자와 여자를 만드셨다는 것이다. 이것으로써 다른 민족들의 모든 신화는 일축된다. 인간은 남신과 여신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도 아니며, 죽임을 당한 어떤 신의 피에서 생긴 것도 아니며, 어떤 신의 일부도 아니며, 신과 짐승의 결합체도 아니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피조물이되, 하나님의 모습을 지닌 피조물이다.
그들이 하나님의 피조물이라는 것은 더할 나위 없이 분명하다. 그들의 창조는 하나님께서 따로 어느 한 날을 잡아서 하신 것이 아니다. 동물들과 사람은 똑같이 창조의 여섯째 날에 지음을 받았다. 바다의 물고기와 공중의 새에게 복을 주시며 생육하고 번성하라고 명령하신 하나님께서는 아담과 하와에게도 복을 주시며 생육하고 번성하라고 명령하셨다.
바다의 고기나 공중의 새나 사람이나 모두 생육하고 번성하는 피조물들이다. 인간의 창조에 대해서는 천지의 창조된 "대략(계보)"을 적고 있는 2장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여기에는 하나님께서 그 만드신 땅에 나게 하신 것들이 나온다. 땅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살아 있는 피조물들을 낳았다. 사람도 역시 땅으로부터 나왔다. 하나님께서는 아담을 흙으로 지으시고, 하와는 아담의 몸에서 지음을 받는다.
반면, 1장과 2장은 모두 인간과 다른 피조물과의 차이점을 이야기하면서 인간 창조의 특이성을 강조한다. 1장에서 인간의 창조는 하나님의 결정에 의한 것이다: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 (26) 1장 서두에 "하나님의 신"이 나오는데, 이것은 하나님께서 자기 자신과 의논하셨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것은 사람이 자신의 영혼에게 말하는 것과는 다른, 삼위일체 하나님의 신비에 속한 것이다.
2장에서 인간 창조의 괄목할 만한 특이성은 맨 먼저 하나님께서 흙에서 사람을 만들기 위하여 취하신 특별한 행동 속에서 나타나고 있다. 하나님의 손의 접촉 외에 그분의 입술의 숨이 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코에 생명의 숨(생기)을 불어 넣으신다. 이것은 친밀한 교제의 모습을 그려 주고 있다.
인간은 하나님에 의하여 지음을 받았기 때문에 피조물이다. 그러나 인간은 독특한 피조물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하나님처럼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형상"이라는 말은 나중에 구약성경에서 우상들을 묘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이 예배할 목적으로 어떤 형상들을 만드는 것을 금하신다. 심지어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인간의 형상까지도 예배할 목적으로 만드는 것은 절대 금하셨다.
다시 말해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는 창세기의 설명은 다른 민족들의 신화들과는 상치된다. 그 신화들을 보면 어느 한 개인이나 부족이나 민족을 신들로부터 내려온 것으로 따로 구별하고 있다. 왕조의 신화들은 왕만이 홀로 신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다고 가르친다.
설형문자로 된 고대 비문에 보면, “나의 주이신 왕의 부친은 벨의 형상이었고, 나의 주이신 왕은 벨의 형상이다"라고 나와 있다. 그러나 창세기에는 모든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창 1:27).
창조 시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기 때문에 그 본성과 역할이 독특하다. 인간은 생명을 가진 다른 피조물들과 마찬가지로 유기체적인 신체적 생명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그들을 대표할 자격을 얻게 된다. 인간을 통하여 신체를 가진 모든 피조물들은 하나님께 찬양을 드릴 수가 있다. 창조의 절정인 인간에게는 수행해야 할 하나의 역할이 있다.
인간은 피조물의 하나이면서, 창조주와 피조물의 세계 사이에서 중보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 안에서 하나님께서는 그의 피조물을 개인적으로 다루실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말씀하시고, 인간은 그 입술로 피조물의 머리로서 피조물을 위하여 대신 하나님께 응답한다.
인간은 창조된 형태에서 바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는 또한 피조물을 지배한다.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피조물에 대한 인간의 지배권과 연관되어 있다(창 1:26-27). 아담이 동물들의 이름을 짓는 재미있는 장면은 단지 어린아이들의 즐거움을 위하여 기록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아담이 피조물의 형태를 이해하고 그들에게 명령하도록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그것은 또한 어떤 동물도 아무리 충성스럽게 인간을 섬기는 동물들도-인간의 반려자가 될 수 없고, 인간과 동등한 지위를 가질 수 없다는 것을 극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모두가 아는 대로 양자가 서로 구별되면서도 서로 놀라운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 그런 관계가 있다. 곧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이다. 우리는 흔히 “저 아이는 그 아버지를 꼭 빼닮았어"라고 하는 말을 자주 듣는다. 창세기 5장에 보면, 아담과 하와가 셋이라는 아들을 낳았는데, 그것에 대하여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아담이... 자기 모양 곧 자기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 하였고.”(3)
이 구절에 대하여 어떤 사람은, 아담은 범죄로 말미암아 타락하였기 때문에, 아담 자신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 형상은 타락 시에 상실했으며, 따라서 아담 안에 남아 있는 것은 더 이상 하나님의 형상이 아니고 아담 안에 있었던 그 형상의 희미한 반영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인간 생명의 가치와 존엄성은 인간이 바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는 사실 위에 확립되는 것이다(창 9:6, 약 3:9).
어떤 의미에서 볼 때 인간과 동물을 계속 구별해 주는 것이 바로 이 하나님의 형상이며, 우리는 아담이 자기 형상대로 낳은 아들 셋 역시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으며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누가복음은 그리스도의 계보를 셋, 아담, 하나님으로까지 소급하는 것이다. 창세기는 인간의 타락에도 불구하고 인간 속에서 하나님의 형상은 계속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셋은 그의 아버지 아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아담은 하나님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누가가 그 계보에서 의미하고자 한 바는 분명하다. 즉 아담은 하나님의 형상을 가진 자로서 하나님의 아들이라 불릴 수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창세기에서 그 아버지 아담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은 가인이 아니라 셋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하나님의 약속은 셋의 계보에게 주어졌지 가인의 계보에게 주어지지 않았다. 바로 셋의 계보에서 참된 아들 직분이 실현될 것이다. 창세기에서 아담은 얼마나 영광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하나님께서 친히 자기의 모양대로 그를 지으시고 하나님께서 만드신 동산에 살게 하셨다. 그곳은 생명의 활기로 가득 차 있는 곳이었다. 열심히 뛰어 노는 동물들, 열매를 주렁주렁 달고 있는 나무들, 햇빛이 찬란하게 비치는 파란 하늘, 나지막이 안개를 드리운 아름다운 계곡. 이 첫 번째 사람은 만물의 주님이시다.
그를 통하여 피조물은그 눈을 창조주께로 향하여 들며, 하나님의 영광을 이야기하며 하나님을 찬양한다. 아담은 동산을 다스리며 지키는 자였고, 그 동산의 부요함을 탐구하고 세계를 발전시킬 자유가 있었다. 하윌라에는 금이 있었고, 큰 강들이 동산에서 발원하여 동산을 적시고 흘러갔다.(계속) <저작권자 ⓒ 리폼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목록
|
|